본문 바로가기
경제·금융

거시경제 분석③ - 물가

by alzipp 2024. 11. 5.

※ 본 게시물은 개인적으로 수강한 강의에 대해 내용을 정리하기 위한 포스팅임 ※

  • 물가: 시장에서 거래되는 개별 상품들의 가격 및 서비스의 요금을 경제 생활에서 차지하는 중요도를 고려하여 평균한 종합적인 가격수준
    • 매월 약 500개의 주요 상품/서비스 품목의 가격을 조사하여 특정방법으로 산출한 식
  • 물가지수
    • 소비자 물가지수
      1.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지수
      2. 전국 주요 도시에서 매월 460개의 조사 대상 상품과 서비스 품목의 가격을 조사하여 라스파이레스 산식으로 산출
      3. ex) 10% 상승시, 이전의 소득으로 구매할 수 있는 상품 및 서비스 수량은 10% 감소
    • 생산자물가지수
      1. 생산자가 판매하는 가격에 대한 물가지수 (도매단계)
      2. 기업간에 거래되는 892개의 생산재나 환성 소비재를 선정하여 연쇄가중방식으로 산출
    • 수출입물가지수
      1. 수출입 상품의 가격 동향을 파악하고 가격 변동이 국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축적하기 위한 지수
      2. 수출입 총액의 약 1/2000이상의 거래 비중을 갖고있고 동종 제품군의 가격 변동을 대표할 수 있으며 가격 시계열 유지가 가능한 품목이 대상
    • 경기 선행지수: 소비자 신뢰지수(Consumer Confidence Index)
  • 지수 상승시 영향력 (절대적X, 개연성)
    1. 주식시장 - 소비자 경기 전망 긍정적, 소비가 증가하며 기업의 실적 기대 가능하여 강세
    2. 채권시장 - 소비자 증가하며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금리 인상이 이루어져 약세
    3. 외환시장 - 금리 인상이 이루어지면 해당 국가로 자금이 들어와 통화 가치 절상이 예상되며 강세
  • 물가와 환율 & 경기는 양의(+)관계
    • 환율상승 ▶ 수입상품 및 원재료 가격 상승 ▶ 상품 평균가 상승 ▶ 물가 상승
    • 경기상승 ▶ 소비 증가 ▶ 수요 및 생산비 증가 ▶ 물가 상승
  • 물가와 주가
    • 물가 "완만히" 상승 ▶ 실물자산의 명목가치 상승 ▶ 기업 수지 개선 및 자산가치 증대 ▶ 주가 상승
    • 물가 "급격히" 상승 ▶ 저축 위축 및 실물자산 선호 ▶ 금리 상승 ▶ 주가 하락
    • 물가 상승 ▶ 수요 증가 및 은행권 자금 부족 ▶ 금리 상승 ▶ 채권 가격 하락
    • 물가 하락 ▶ 수요 감소 및 은행권 자금 과잉 ▶ 금리 하락 ▶ 채권 가격 상승