※ 본 게시물은 개인적으로 수강한 강의에 대해 내용을 정리하기 위한 포스팅임 ※
- 물가: 시장에서 거래되는 개별 상품들의 가격 및 서비스의 요금을 경제 생활에서 차지하는 중요도를 고려하여 평균한 종합적인 가격수준
- 매월 약 500개의 주요 상품/서비스 품목의 가격을 조사하여 특정방법으로 산출한 식
- 물가지수
- 소비자 물가지수
-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지수
- 전국 주요 도시에서 매월 460개의 조사 대상 상품과 서비스 품목의 가격을 조사하여 라스파이레스 산식으로 산출
- ex) 10% 상승시, 이전의 소득으로 구매할 수 있는 상품 및 서비스 수량은 10% 감소
- 생산자물가지수
- 생산자가 판매하는 가격에 대한 물가지수 (도매단계)
- 기업간에 거래되는 892개의 생산재나 환성 소비재를 선정하여 연쇄가중방식으로 산출
- 수출입물가지수
- 수출입 상품의 가격 동향을 파악하고 가격 변동이 국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축적하기 위한 지수
- 수출입 총액의 약 1/2000이상의 거래 비중을 갖고있고 동종 제품군의 가격 변동을 대표할 수 있으며 가격 시계열 유지가 가능한 품목이 대상
- 경기 선행지수: 소비자 신뢰지수(Consumer Confidence Index)
- 소비자 물가지수
- 지수 상승시 영향력 (절대적X, 개연성)
- 주식시장 - 소비자 경기 전망 긍정적, 소비가 증가하며 기업의 실적 기대 가능하여 강세
- 채권시장 - 소비자 증가하며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금리 인상이 이루어져 약세
- 외환시장 - 금리 인상이 이루어지면 해당 국가로 자금이 들어와 통화 가치 절상이 예상되며 강세
- 물가와 환율 & 경기는 양의(+)관계
- 환율상승 ▶ 수입상품 및 원재료 가격 상승 ▶ 상품 평균가 상승 ▶ 물가 상승
- 경기상승 ▶ 소비 증가 ▶ 수요 및 생산비 증가 ▶ 물가 상승
- 물가와 주가
- 물가 "완만히" 상승 ▶ 실물자산의 명목가치 상승 ▶ 기업 수지 개선 및 자산가치 증대 ▶ 주가 상승
- 물가 "급격히" 상승 ▶ 저축 위축 및 실물자산 선호 ▶ 금리 상승 ▶ 주가 하락
- 물가 상승 ▶ 수요 증가 및 은행권 자금 부족 ▶ 금리 상승 ▶ 채권 가격 하락
- 물가 하락 ▶ 수요 감소 및 은행권 자금 과잉 ▶ 금리 하락 ▶ 채권 가격 상승
'경제·금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회계&재무분석① - Valuation 절차 (1) | 2024.11.06 |
---|---|
거시경제 분석④ - 유가 (3) | 2024.11.05 |
거시경제 분석② - 금리 (2) | 2024.11.05 |
거시경제 분석① - 주가지수와 GDP (7) | 2024.10.31 |
[35회 공인중개사] 5개월 반 동차 합격후기 (공부법, 공부기간, 공부습관 추천, 메가랜드 선생님 후기, 자료추천 등 총정리) (5) | 2024.10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