※ 본 게시물은 개인적으로 수강한 강의에 대해 내용을 정리하기 위한 포스팅임 ※
주가지수 = 성장률÷할인율
주가지수는 성장률과 할인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따라 변화한다. 성장률에는 기업의 펀데멘탈, 국가의 GDP등이 들어갈 수 있고 할인율에는 금리가 들어갈 수 있다. 따라서 성장률 증가에 미치는 요인은 주가지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, 금리 인상과 같은 분모 상승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주가지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.
GDP = C + I + G + (X-M)
GDP = 가계소비 + 기업투자 + 정부지출 + (수출-수입)
- 3대 경제주체: 가계, 기업, 정부
- 가계
- 자산의 증가는 소비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음
- 금융자산: 주식, 채권, 예금
- 실물자산: 부동산
- 기업
- 유보율 감소는 투자 증가할 가능성
- 정부
- 재정정책
- 순수출 (수출 - 수입)
가계소비 (Consumption)
- 내수시장이 강한 국가에서는 경제 성장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
- 가장 중요한 가계소비 지표
소비자 신뢰지수(Consumer Confidence Index) | 미시간대 소비자 심리지수 (Michigan Consumer Sentiment Index) |
가계 소비자들이 미래 경기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 시장 민감도: 중간 |
|
|
|
- 그외 경제지표
- 고용률(Employment Rate)
- 실업률 (Umemployment Rate)
-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(Initial Jobless Claims)
- 케이스-쉴러 주택가격지수(Case-Shiller Housing Price Index)
- 집값 상승시, 집값을 담보로 받을 수 있는 대출 한도가 증가해 소비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큼
- 가계소비지표의 영향력
- #S1: 소비자 지수 상승
- 기업 실적 증가 → 주식시장 강세
- 인플레이션 발생(할인율 구성요소) → 채권시장 가격 약세
- 외환시장 → 해외 투자자가 몰리며 강세
- #S2: 고용은 소비를 이끄는 경제성장의 원동력
- 고용 : 고용률, 실업률,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건 기반하여 고용상황 파악
- 가계소득: 소비 증가
- 부의 효과(Wealth Effect): 금융자산, 실물자산
- #S1: 소비자 지수 상승
기업투자(Business Investment)
- 일반적으로 고정투자에 관한 것, GDP 의 15-20% 차지
- 현금성 자산 증가 = 미래에 대한 부정적 전망, 투자 진행 = 경기 긍정적 전망
- 산업연관 효과가 큼
- 관련 지표
- 건축승인건수(Building Permits)
- 제조업구매관리자 지수(Purchasing Manager's Index)
- 기업의 구매 담당자에 대한 설문조사 (구매 → 생산)
- 50이상 = 제조업 경기 확장, 50미만 = 제조업 경기 수축
-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지표 중 하나
정부지출(Government)
- 재정정책 의미, 15-20%차지
순수출(Net Exports)
- 순수출 = 수출-수입
- 수출이 잘 되기 위한 요건
- 가격 경쟁력
- 품질 경쟁력
- 환율
- 영향
- 가격경쟁력 => 직접적 영향
- 품질 경쟁력 => 간접적 영향 (원자재/자원 구매)
- 자국 통화 약세 = 상품 가격 하락, 수출 증가, 순수출의 폭 감소
- 환율은 국제수지(실물경제)를 따라감
- 국제수지
- 경상수지: 상품수지(수출), 서비스 수지(교육,관광), 소득수지(이자,배당), 경상이전 수지
- 자본·금융계정: 들어온 외환과 흘러나간 외환의 차이, 국가간 금리차이가 가장 큰 영향력
- 무위험률 + 리스크 프리미엄(R(f) + R(p))
= (실질금리+inflation) + 리스크 프리미엄
- 무위험률 + 리스크 프리미엄(R(f) + R(p))
- 국제수지
- 영향
'경제·금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거시경제 분석③ - 물가 (3) | 2024.11.05 |
---|---|
거시경제 분석② - 금리 (2) | 2024.11.05 |
[35회 공인중개사] 5개월 반 동차 합격후기 (공부법, 공부기간, 공부습관 추천, 메가랜드 선생님 후기, 자료추천 등 총정리) (5) | 2024.10.28 |
회계 실전지식 연습하기 - 재무제표의 이해 (ft. 파이낸스 커리어 바이블) (0) | 2024.10.28 |
기업금융(Corporate Finance) 부서의 업무 (ft. 파이낸스 커리어 바이블) (2) | 2024.10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