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경제·금융

거시경제 분석④ - 유가

by alzipp 2024. 11. 5.

※ 본 게시물은 개인적으로 수강한 강의에 대해 내용을 정리하기 위한 포스팅임 ※

 

  • 원유(Crude Oil): 정제유 가공 이전의 '자연 상태'의 석유
  • 원유의 종류
    • API와 황함량이 낮을 수록 정제 비용이 적게들고 고품질의 원유
    • WTI > 브렌트유 > 두바이유 순으로 높은 품질, 가격은 브렌트유가 가장 높음
종류 WTI(West Texas Intermediate) 브렌트유 두바이유
생산지 미국 서부 텍사스 중간지역 영국 북해 중동지역
API (원유의 비중) 38-40 (Light) 38.3 (Light) 32.0 (Medium)
황함량 0.24% (Sweet) 0.37% (Sweet) 1.86% (Sour)

 

  • 유가의 가격변동 요인 = 수급상황
    - 공급에 대한 가격의존도가 높음
    1. 수요 요인
      • 경제성장률, 드라이빙 시즌, 원유 재고 Restocking (정유시설 정기보수 시즌) 등
    2. 공급요인
      • Rig(원유시추수) 숫자, 원유 재고량, 원유 생산 차질(중동지역 정세불안정), 생산비용 등
  • 거시경제 변수와 유가의 상관관계
    •  유가와 경기/물가는 양(+)의 관계
      • 경기전망낙관 ▶ 기업들의 설비 투자 확대 ▶ 원유 수요 증가 ▶ 유가 상승 ▶ 에너지 물가 상승 ▶ 산업 전반적으로 물가 상승
      • (수요측면의) 유가 상승 ▶ (완만한) 물가 상승, 경기전망 낙관 ▶ 기업의 투자 활발 ▶ 1) 기업 성장성 상승에 따른 주가 상승 2) 투자 자본 조달에 따른 수요증가로 금리 증가하여 채권가격 하락
    • 유가와 환율
      • 유가는 달러로 표시 ▶ 달러 가치 상승 ▶ 같은 금액으로 더 많은 양 구매 가능 ▶ 상대적으로 유가 하락