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세사기 급증으로 재정난을 겪고있는 HUG(주택도시보증공사)가 전세보증한도를 축소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. 이미 150% 에서 126%로 강화되었지만 추가적인 조짐을 보이고 있다.
전세보증 ‘126%룰’ 더 강화되나…임대인도 임차인도 ‘불안불안’
전세사기 여파로 재정난 위기를 맞은 주택도시보증공사(HUG)가 전세보증금반환보증 가입 문턱을 더 높이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.임대인들의 전세보증 가입 요건 맞추기가 더 까다로워지면 그만
www.dailian.co.kr
빌라 전세시장 망가진다…HUG 전세보증 요건 강화 움직임 - 대전일보
전세사기 충격으로 지역 주택시장에 팽배해진 \'빌라포비아(혐오증)\'가 더 극심해질 위기다.주택도시보증공사(HUG)가 전세보증 대상 주택의 전세가율(주택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)을 90%에서 80%
www.daejonilbo.com
기존의 방식에서 변화가 생기는 부분은 다음과 같다.
원래는 선순위 채권+전세보증금의 금액이 ① 의 이내면 되는데, 앞으로는 ②와 같이 기준이 더 강화된다는 것이다.
①[현행 주택가액 산정법]: 주택가격 (공시지가 × 연면적) × 140% × 담보인정비율 90% ; 공시가의 126%
②[변경 예상안]: 주택가격 (공시지가 × 연면적) × 140% × 담보인정비율 80% ; 공시가의 112%
따라서 임대인의 경우 전세보증금을 주택가격보다 훨씬 높게 받았다면 일부를 돌려주어야 할 수도 있고, 임차인의 경우 전세보증금 및 선순위 채권 금액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계약을 할 경우 보증보험에 가입하지 못하게 될 경우도 있다.
기사에 따르면 ②의 방안을 실행할 경우, 현상태로는 전국의 69%의 빌라가 계약시 보증가입이 불가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.
그렇다면 현재 내가 살고있는 또는 보유하고 있는 곳의 최대 전세보증금은 얼마일까? 다음과 같이 계산해주면 된다.
① 공시가격의 확인
각 부동산의 종류마다 공시주체가 다르기 때문에 기준시가 또한 다른 사이트에서 조회해야 한다.
오피스텔 의 경우 홈텍스 홈페이지 검색창에 '기준시가조회'를 검색한다.
가운데에 있는 '기준시가 안내' 클릭
다음과 같은 화면에서 '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 기준시가 조회' 를 클릭하면 된다.
단독주택과 공동주택의 공시지가는 하기 링크를 클릭하면 바로 연결된다.
▶공동주택/단독주택 공시가격 확인 바로가기
② 전세보험 가입 가능 최대 전세보증금 한도 계산
오피스텔을 예시로 해보겠다. 지도에 있는 아무 오피스텔을 검색해보았다.
이때 해당 호의 공시가격은 3,735,000 × 32.47 = 121,275,450원, 즉 1억 2100만원정도이다.
(다만 면적의 경우 세대별로 상이할 수 있으며, 계약면적을 이용하면 된다.)
담보기준 변화에 따른 가입가능 보증금 최대 한도를 확인해보겠다.
①[현행]: 121,275,450원 × 140% × 담보인정비율 90% ; 보험 가입가능한 최대 전세보증금 152,807,067원
②[예상]: 121,275,450원 × 140% × 담보인정비율 80% ; 보험 가입가능한 최대 전세보증금 135,828,504원
(약 1700만원↓)
현재 호갱노노를 확인하여 나오는 전세계약의 경우, 1건을 제외하고는 향후 강화될 수도 있는 요건에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. 다만 유의해야 할 점은, 들어가고자 하는 세대의 등기부등본을 확인했을 때, 나보다 선순위에 있는 채권(ex.근저당)이 나의 보증금과 합쳐 80%가 초과할 시, 보험가입이 불가하니 이 점도 잘 확인해야 한다.
해당 요건이 통과된다면, 임대인은 계약만료 및 재계약시 세입자에게 돌려줄 자금을 마련해야 할 것이고, 임차인에게는 앞으로 전세매물보다는 월세매물 또는 반전세 매물이 증가하게 될 것이다.
'경제·금융 > 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공인중개사 합격 통지를 받았습니다. - 35회 시험 합격률 및 통계 알아보기 (1) | 2024.11.27 |
---|---|
[공인중개사 핵심정리] 공시법 지적법 2탄: 지목 설정원칙/지목 표기법/지목의 구분 (1) | 2024.08.06 |
[공인중개사 핵심정리] 공시법 지적법 1탄: 지적서론/지번/토지이동/지번부여 (1) | 2024.08.06 |
[고병기 기자 팟캐스트 요약] 532회 이지스아시아의 첫 플랫폼 투자는 공유 실험실 (1) | 2024.07.19 |
[국토계획법] 도시 군·관리계획 (0) | 2024.07.11 |